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메갈로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메갈로사우루스]] (Megalosaurus) ==== [anchor(메갈로사우루스)] ||<#ffffff><-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800px-Megalosaurus_Dossier.jpg|width=550px]] ||<-4><#ffffff><nopad> [[파일:megalosaurus.png|width=300px]] || ||<#dddddd><-4> '''도감''' ||<#dddddd><-4> '''게임 내 모델''' || ||||||||||||||<bgcolor=#505050> '''{{{+1 {{{#ffffff 메갈로사우루스}}}}}}''' '''{{{#ffffff Megalosaurus | ''Megalosaurus noctedominus'' }}}'''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egalosaurus.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 테이밍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57)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파일:Superior_Kibble.png|width=20]] 우수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1025 || +205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300 || +30 || +10%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2000 || +200 || +10% || x15%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300 || +6 || +4%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75''' || +3.75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775 || +46.5 ||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600 || '''1092''' || '''1260'''||<-2> +1% || - || ||<#dddddd> '''수중''' || 300|| 00 || 00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변종 메갈로사우루스(에버레이션) 괴상한 메갈로사우루스(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스코치드 어스,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크리스탈 아일[br]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랍 아이템'''}}} |||||||||||||| |||||||||||||| 생고기, 가죽, 고품질 생고기, 케라틴 |||||||||||||| >'''종명''' >메갈로사우루스 녹테도미누스 > >'''시기''' >쥐라기 중기 > >'''식성''' >육식성 > >'''기질''' >야간에 공격적 > >'''야생''' >'''메갈로사우루스 녹테도미누스(''Megalosaurus noctedominus'')'''는 섬의 다른 수각류처럼 가볍게 볼수 없는 육식공룡입니다. 일반적인 수각류 공룡들과 달리, 이 녀석은 야행성 동물입니다. 만약 새벽이 된다면, 이 수각류 공룡은 안전한 곳에서 잠을 자면서 하루를 보낼 곳을 찾기 시작합니다. 만약 낮에 방해받을 경우 메갈로사우루스는 엄청나게 둔해질 것입니다. 어느 쪽이든간, 메갈로사우루스의 전술은 목표물을 물어뜯은 다음, 그대로 턱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아마도 메갈로사우루스의 턱은 그보다 훨씬 큰 생물만이 탈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나면, 메갈로사우루스는 목표물이 죽을 때까지 갉아먹으며 그대로 찢어발깁니다. 그 광경은 보기에도 매우 끔찍한 광경이며, 부족들은 민첩한 적을 상대로 이 전술을 사용합니다. > >'''조련된''' >메갈로사우루스가 섬에서 제일 강력한 수각류는 아니지만, 여전히 야경꾼들은 이 녀석을 찾으려 하고 있습니다. 야행성이란 습성으로 인해, 메갈로사우루스는 밤에 훨씬 더 강력해져서 더 빠르게 적의 공격을 피하고 체력을 회복, 더 정확하게 공격을 무자비하게 퍼붓습니다. >---- >'''[[헬레나 워커]]''' 카르노타우루스와 비슷한 사이즈의 동굴에서 잠을 자는 채로 스폰되는 중형 수각류. 라그나로크에서는 메갈라니아와 함께 단 둘이서만 나오는 동굴이 존재하며, 에버레이션에서 변종으로 등장한다. 블루존부터 출현하며, 지역이 지하라서 그런지 잠도 안자고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만 보면 수면이라는 특이한 기믹이 있는 평범한 생물인 것 같으나, 밤 한정으로 덩치에 비해 엄청난 스펙[* 같은 몸집의 카르노와 비교해 체력이 무려 '''1025'''라는 파격적인 수치에 기본 대미지는 '''75'''로 렉스보다 더 높다.]과 빠른 돌진 속도, 중형 날탈것까지 '''행동 불능으로 만들어버리는 물어올리기 특수 능력'''이라는 파격적인 성능을 지니게 된다. 무리 보너스를 받은 알로사우루스나 수분 흡수 버프 스피노, 동스펙 렉스가 와도 이기는 수준으로 사실상 밤에 한해 렉스나 스피노와 같은 대형 생물 수준의 스펙을 보유한 생물인 셈이다. 하지만 낮에는 눈에서 광채가 사라짐과 동시에 [[섀도메인|잠에 빠진다.]] 물론 억지로 깨워서 쓰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나, 받는 피해량 20% 증가, 이동속도 감소, 공속 감소, 우클릭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생물 수 감소, 기력 회복은 불가능, 각 행동의 기력 소모량 상승[* 그냥 물기 공격의 기력 소모량이 기본 5에서 '''45'''까지 올라간다. 즉, 1레벨 기준으로 6번 공격하면 7번째부터 기절 수치가 올라간다.], 기절 수치가 천천히 증가라는 디버프를 지니게 되므로 사실상 밤이 아니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낮에 억지로 깨우면 각종 스탯 상 디버프 외에도 Sleep Deprivation(잠 부족)이라는 상태 바가 생기며, 깨어있는 동안 천천히 증가한다. 총 120까지 증가하며, 꽉 차는 순간 기절 수치가 빠르게 오르기 시작한다. 그렇게 쓰러지면 잠든게 아니라 기절한 것으로 취급되며, 기절 수치가 다시 0이 될 때까지 행동 불능에 빠지게 된다. ---- ||<bgcolor=#505050><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tablealign=center> '''{{{#ffffff 메갈로사우루스가 집을 수 있는 생물 목록}}}''' || ||<bgcolor=#dddddd> '''기본 운반''' || || 아카티나 · 아라네오 · 아트로플레우라 · 바리오닉스 · 벌브 독[br]카스토로이데스 · 칼리코테리움 · 콤피 · 다에오돈 · 딜로포사우루스 · 디메트로돈[br]디플로카울루스 · 다이어울프 · 도도 · 쇠똥구리 · 에쿠스 · 페록스 · 거대 벌[br]빛벌레 · 글로우테일 · 이스페로니스 · 생존자 · 하이에노돈 · 이구아노돈 · 캥거루 쥐[br]주전자 벌레 · 카이루쿠 · 거머리 · 리스트로사우루스 · 메갈라니아 · 사마귀 · 메갈로케로스[br]메가네우라 · 메소피테쿠스 · 메가테리움 · 모스콥스 · 수달[br]오비랍토르 · 오비스 · 파키 · 파라사우롤로푸스 · 페고매스탁스 · 피오미아[br]펄모노스콜피어스 · 펄로비아 · 랩터 · 레비저 · 검치호 · 샤이니혼[br]테러 버드 · 가시 드래곤 · 틸라콜레오 · 티타노보아 · 티타노미르마 · 트로오돈[br]암모나이트 · 크니다리아 · 실러캔스 · 바다전갈[br]이크티오사우루스 · 만타 · 피라냐 · 검치 연어 · 삼엽충[br]시조새 · 아르젠타비스 · 디몰포돈 · 페더라이트 · 이크티오르니스 · 매미 나방[br]미크로랍토르 · 오니크 · 펠라고르니스 · 프테라노돈 · 타페자라 · 독수리 || 메갈로사우루스의 스펙도 스펙이지만 특수능력도 꽤 강력한 편으로, 카프로수쿠스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나 생물들을 물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데 이쪽은 크기가 더 큰 만큼 '''중형 생물들과 날탈것도 행동불능으로 만들 수 있다.''' 특유의 깡스탯 덕분에 반격이 쉽지 않은 편이며, 플레이어가 직접 좌클릭을 누르지 않으면 붙잡은 생물을 공격하지 않지만, 집어올리는 순간 약간의 피해를 주기 때문에 어그로를 끄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들어올린 상태에서 흔드는 공격은 피해량이 '''90'''으로 고정되어 공격력 수치의 보너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이는 적대적 플레이어를 깨문 상태라면 장점이지만 체력이 높은 생물들을 처리하려면 시간이 걸리는 편. 이 능력을 생물 조련을 위해 사용하려고 한다면 메갈로에게서 내리는 순간 물고 있는 대상을 그대로 공격해 버리기 때문에 둘 이상의 부족원이 있어야만 한다. 굳이 혼자서 한다면 테이밍장이나 함정으로 끌고 가서 던져넣는 정도이며, 생물 속박 및 운반에는 다른 날탈것이나 '''호버''', '''그물 탄환''' 등 더 좋은 수단이 많기에 굳이 이 용도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 다만 이런 강력한 메갈로사우루스의 단점은 상술했듯 '''제한된 운용 가능 시간'''. 아무리 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로 쓰이지 않는 이유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그 스펙 그대로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한 렉스 등의 다른 생물에게 안정성 면에서 밀리게 된다. 이미 비슷한 스펙의 다른 생물들이 시간에 관계없이 쓰는 것이 가능한 만큼, 강력한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낮에는 사실상 쓰지 못할 수준의 생물을 쓸 이유가 없는 것이다. 또한 위에서 비교된 렉스의 경우 [[더 센터]]의 화산 섬에 일반 종이, [[제네시스 파트 1]]의 달 지역에는 더 높은 능력치를 기대할 수 있는 테크 아종이 매우 흔하게 스폰되어 좋은 개체를 길들이기 쉬운데 비해, 메갈로사우루스의 경우 스폰 장소도 대부분 동굴로 한정되어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때문에 애정이 있는 경우 밤 시간에 맞춰서 보스전에 활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용하기도 편하고 접근성도 좋은 렉스에게 밀리며, 기가노토나 와이번처럼 렉스는 물론 밤 상태의 메갈로사우루스보다도 더 높은 공격력을 가진 생물들도 존재해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 그나마 위안인 점은 유일하게 [[에버레이션]] 맵에 한해서는 맵 내에 렉스나 기가노토가 스폰되지 않으며 전송 역시 불가능해 사실상 '''변종 메갈로가 렉스 포지션인 것.''' 맵 특성상 밤낮 상관없이 늘 깨어있기[* 변종 유무와는 관계 없다. 일반 메갈로사우루스를 에버레이션에 가져다 놓으면 밤낮 관계없이 깨어 있으며, 변종 메갈로사우루스를 다른 맵에 가져다 놓으면 낮에 잔다.]에 상술한 시간제한과 관한 단점이 사라지게 된다. 때문에 [[에버레이션]]에 한해서는 위에 설명한 단점과 무관하게 강력한 성능을 제때 발휘 가능하다. 상술한 성능과는 별개로 길들이는 것은 매우 쉽다. 낮의 메갈로사우루스는 느려터지고 공격력도 약한 상태고, 잠들지 못하게 계속 방해를 하면 잠 부족으로 혼자 기절을 해버리는 수준. 다만 동굴에서만 등장하기 때문에, 길들이는 난이도와는 별개로 해당 환경에 진입하기 위한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기절한 상태에서 낮이 지나고 밤이 되면, '''현재 기절 수치에 관계없이 즉시 깨어난다.''' 그래도 조련 진행률은 여전히 유지되며, 밤이 되어 깨어난 상태에서는 어떤 대미지를 받아도 조련 효율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깨어날 때 인벤토리의 음식들이 전부 사라지니 이 점은 주의해야 한다. 또한 잠시라도 안일하게 있다가는 특수 능력에 당해서 반격도 제대로 못해보고 높은 공격력에 순식간에 갈려나가게 되니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밤이 지나갈 때까지 버텨야 한다. 추가적으로 기절 상태일 때 배고픔과 기절 수치가 매우 천천히 떨어진다. 깨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고 레벨 2시간 정도에 30레벨만 돼도 1시간이 넘게 걸리기 때문에 마취약은 거의 필요하지 않다. 특히 밤이 되면 즉시 깨어나니 다시 기절시키고 나면 마비약이 없어도 될 정도. 다만 마비용 도구들은 많이 준비하여야 한다. 길들이는 데 드는 시간은 150레벨 기준 '''45분''' 정도가 소요되며, 메갈로사우루스는 우수한 키블을 좋아한다. 메갈로사우루스 알 역시 똑같이 우수한 키블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수중 생물이나 비행 능력이 있는 생물들을 집을 수 없는 날탈것들과 달리 소형 수중 생물들, 날탈것들도 우클릭으로 붙잡을 수 있으며, 이때 물 밖으로 끌어내진 수중 생물은 즉사한다. 여담으로 스펙보다는 크기를 따르는 모양인지 렉스나 테리지노 같은 대형 생물 취급이 아니라서 길들인 메갈로사우루스는 카르노는 물론 랩터에게도 선공받는다. 어째서인지 수면을 취하는 동안에 '''칼리코 좌석 버프'''가 생긴다. 이는 비슷한 수면 기믹을 가진 [[섀도메인]]에게도 그대로 적용되었기에 Awesome Spyglass 모드 같은 것으로 볼 시 섀도메인이 수면을 취해도 똑같이 칼리코 좌석 버프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